요즘 관심있게 보고 있는 사회문제는 자살 할 수 밖에 없었던 젊은 검사의 이야기다.  직장에 다니면서 상사에게 폭언을 듣지 않으며  직장생활을 하는 직장인은 아마 한명도 없을 것이다. 정도의 차이는 있을 것이고, 받아들이는 후배의 마음가짐 또한 다 다를 것이다. 그럼 직장에서 듣게되는 혹은 하게 되는 폭언은 어떻게 정의 할 수 있을까?


폭언의 정의

목소리의 크기에 상관없이(꼭 고성이 아니더라도) 청자에게 인격모독의 발언을 하거나 그에 준하는 내용의 말을 전달하는 것.

다시 말해

- 고성은 말할 것도 없고

- 욕설은 설사 장난으로 친근함의 표현(?)으로 한다고 하더라도 

- 인격 모독을 하거나, 청자의 업적을 폄하하거나

- 비난하는

내용의 말을 청자에게 전달했을 경우에 화자의 의도가 어떠하든 폭언으로 간주 할 수 있을 것이다. 혹자는 상대를 정신차리게 하기 위해서, 장난으로, 아무런 감정을 싣지 않고 말한 것이라는 변명을 하지만, 상대의 감정을 상하게 하는 발언이라면 모두 폭언으로 간주해야 할 것이다.


직장인의 대처법

- 혼자 먹는 술, 혼자하는 게임

- 친구와 술, 수다(직장상사에 대한 욕)

- 업무 변경(이직)

- 회사에 신고(제도가 있다면)

- 한판 붙기(제일 속이 시원함)

- 비하발언의 내용에 대한 부정

- 퇴사

친구와 푸는 방법이 제일 흔히 하는 방법일 것이다. 친구들과(회사 동기, 동료) 상사를 안주 삼아 술로 푸는 경우도 많을 것이다. 어쩔수 없는 상황을 푸념하며 그날의 스트레스를 털어버리는 방법말이다. 하지만 상사와의 관계는 변하지 않기에 하루밤 정도만 효과를 보며 폭언을 들은 그 상황을 다음날 똑같이 맞이할 수 있다. 그래서 보통 직장인들은 폭언을 하는 상사의 기분을 맞추기 위해 어처구니 없는 업무들을 그대로 받아서 처리하고, 하지 않아도 될 일들을 찾아 해내며 상사에게 잘보이려 한다. 그것도 웃으며 말이다. 보통의 경우 상사는 그 부하직원을 흔히 말하는 호구로 보게 되며, 폭언은 줄어들지 않고 오히려 늘어난 폭언을 경험하기도한다. 너무 화가난 나머지 한바탕 파이팅을 할 수 도 있으나 이 또한 리스크가 엄청나다. 아니 할 수 없다. 제일 좋은 방법은 충분한 폭언 증거를 수집하고,(동료들도 그 상사의 폭언을 인정하면 더 좋다) 회사의 신고제도를 이용하는 것이다.이 또한 힘든 상황이라면 부서이동을 요구하거나(매우 힘들것이다.) 퇴사가 답이다.


극단의 대처(자살)은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세상은 살만한 곳이며, 나를 필요로 하는 곳은 얼마든지 있기 때문이다. 자살로 폭언상황을 마무리 할 수 밖에 없었던 그 젊은 검사에 애도를 표하며, 글을 마무리한다. 


Posted by 황승곤
,